자기기만 경계하기(욥기 15:1-16)
자기기만 경계하기(욥기 15:1-16)
새찬송 152장 귀하신 예수
1 데만 사람 엘리바스가 대답하여 이르되 2 지혜로운 자가 어찌 헛된 지식으로 대답하겠느냐 어찌 동풍을 그의 복부에 채우겠느냐 3 어찌 도움이 되지 아니하는 이야기, 무익한 말로 변론하겠느냐 4 참으로 네가 하나님 경외하는 일을 그만두어 하나님 앞에 묵도하기를 그치게 하는구나 5 네 죄악이 네 입을 가르치나니 네가 간사한 자의 혀를 좋아하는구나 6 너를 정죄한 것은 내가 아니요 네 입이라 네 입술이 네게 불리하게 증언하느니라 7 네가 제일 먼저 난 사람이냐 산들이 있기 전에 네가 출생하였느냐 8 하나님의 오묘하심을 네가 들었느냐 지혜를 홀로 가졌느냐 9 네가 아는 것을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이 무엇이냐 네가 깨달은 것을 우리가 소유하지 못한 것이 무엇이냐 10 우리 중에는 머리가 흰 사람도 있고 연로한 사람도 있고 네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도 있느니라 11 하나님의 위로와 은밀하게 하시는 말씀이 네게 작은 것이냐 12 어찌하여 네 마음에 불만스러워하며 네 눈을 번뜩거리며 13 네 영이 하나님께 분노를 터뜨리며 네 입을 놀리느냐 14 사람이 어찌 깨끗하겠느냐 여인에게서 난 자가 어찌 의롭겠느냐 15 하나님은 거룩한 자들을 믿지 아니하시나니 하늘이라도 그가 보시기에 부정하거든 16 하물며 악을 저지르기를 물 마심 같이 하는 가증하고 부패한 사람을 용납하시겠느냐
※ 도움말
*하나님 앞에 묵도하기를 그치게 하는구나(4) : 욥의 악하고 어리석은 말이 다른 사람의 신앙에 타격을 준다는 의미를 시사한다. 그러나 문맥의 흐름으로 볼 때 오히려 욥 자신이 신앙적 파산에 놓여져 있다고 봄이 더 자연스럽다(호크마 주석).
※ 도움질문
1. 엘리바스는 욥을 여전히 비난합니다(1-6). 엘리바스는 무엇으로 욥을 책망합니까(7-10)?
2. 엘리바스는 하나님의 영광 앞에서 인간의 부패함을 어떻게 표현합니까(14-16)?
※ 말씀묵상
자기기만의 경계 (1-10)
욥의 진심 어린 자기변호에도 불구하고 엘리바스는 욥의 말을 비난한다. 오히려 ‘네 입이 너를 정죄한다’고 말하면서 욥의 자기변호를 묵살한다. 엘리바스의 주장은 ‘자신들의 나이와 경험으로 봤을 때 네 말하는 의도를 다 알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는 다 안다’는 식의 엘리바스의 태도는 욥의 진실과 정의에 대한 항변이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경험과 나이로 인한 자기 기만이 진실과 정의 앞에서 자신의 눈을 가린다. 개인적인 영적 체험 역시 사람과의 관계에서 교만으로 자리 잡아 (자기만 다 안다는 식으로) 사람과의 관계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자기 기만으로 눈이 가리어지지 않도록 경계하자.
하나님의 빛 앞으로 나아가기 (11-16)
엘리바스가 보기에 욥은 범죄하고도 하나님을 향하여 눈을 번뜩이는 교만하고 완악한 죄인으로 보인다. 욥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말이긴 하지만, 엘리바스의 말에도 보편적 진리는 담겨 있다. ‘맑은 하늘도 하나님 보시기에는 맑다고 할 수 없다’(15). 이와 같은 비유는 하나님의 성결 앞에서는 깨끗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인생이 없음을 가리킨다. 하나님의 완전하심 앞에서 사람은 자신이 부패한 죄인임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의 빛 앞에서 부패한 자신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하는 것이 죄인을 치료하기 위해 오신 그리스도께 나아가게 하는 은혜의 열쇠가 된다.
※ 삶의적용
자신의 눈을 가리는 자기기만의 모습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