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수치의 십자가(마태복음 27:27~44)
새찬송 150장 갈보리 산 위에
27 이에 총독의 군병들이 예수를 데리고 관정 안으로 들어가서 온 군대를 그에게로 모으고
28 그의 옷을 벗기고 홍포를 입히며
29 가시관을 엮어 그 머리에 씌우고 갈대를 그 오른손에 들리고 그 앞에서 무릎을 꿇고 희롱하여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30 그에게 침 뱉고 갈대를 빼앗아 그의 머리를 치더라
31 희롱을 다 한 후 홍포를 벗기고 도로 그의 옷을 입혀 십자가에 못 박으려고 끌고 나가니라
32 나가다가 시몬이란 구레네 사람을 만나매 그에게 예수의 십자가를 억지로 지워 가게 하였더라
33 골고다 즉 해골의 곳이라는 곳에 이르러
34 쓸개 탄 포도주를 예수께 주어 마시게 하려 하였더니 예수께서 맛보시고 마시고자 하지 아니하시더라
35 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후에 그 옷을 제비 뽑아 나누고
36 거기 앉아 지키더라
37 그 머리 위에 이는 유대인의 왕 예수라 쓴 죄패를 붙였더라
38 이 때에 예수와 함께 강도 둘이 십자가에 못 박히니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39 지나가는 자들은 자기 머리를 흔들며 예수를 모욕하여
40 이르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며
41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함께 희롱하여 이르되
42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그가 이스라엘의 왕이로다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올지어다 그리하면 우리가 믿겠노라
43 그가 하나님을 신뢰하니 하나님이 원하시면 이제 그를 구원하실지라 그의 말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였도다 하며
44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강도들도 이와 같이 욕하더라
※ 도움말
*구레네 시몬이 억지로 십자가를 짐(32) : 예수님이 육신적으로 너무 지쳐 있어 십자가를 끌고 가기가 무리인 상황에 시몬으로 하여금 억지로 십자가를 지게 하여 골고다로 가게 했다.
*쓸게 탄 포도주를 거부하심(34) : 십자가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일종의 마취제인데, 예수님이 거절하신다. 인간이 받아야 할 모든 고통을 그대로 감당하고자 하는 메시아의 의지로 볼 수 있다(히4:15).
※ 도움질문
1.예수님이 모욕과 조롱 당하시는 모습을 살펴보라 누가 어떻게 모욕하는가(27~31, 39~44)?
2.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히실 때 쓸개 탄 포도주를 왜 거부했는가(34)?
※ 말씀묵상
1. 정신적으로 죽임 당하심 (27-31, 39-44)
거룩하신 예수님의 죽음은 매우 비참했다. 인류에 대한 거룩한 사랑의 결단으로 스스로 죽음에 내던져졌으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비참한 죽음이었다. 예수님은 이방 군인들에게 모욕과 희롱(옷 벗김, 홍포, 가시관, 침 뱉음, 갈대로 머리 침)을 받으신다. 지나가는 자들 역시 머리를 흔들며 무능력해 보이는 예수님을 약 올리듯 모욕했다. 대제사장들과 장로들도 ‘하나님의 아들이 무기력하다’고 비꼬았다. 함께 못 박힌 강도들조차도 욕하며 조롱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육신적 못 박힘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살인의 못 박힘이었다. 우리의 자유를 위해 모든 수욕을 대신 받으신 것이다.
2. 십자가에 못박히심 (32-38)
예수님은 도살장에 끌려가는 어린 양같이 죽으셨다. 대제사장들의 밤샘 심문과 빌라도의 이른 아침 재판, 군인들의 채찍질로 몹시 지친 예수님은 십자가 형틀을 지고 골고다로 가기도 어려웠다. 마태는 십자가에 못 박히시는 순간을 아주 간단히 언급한다(35). 십자가 사건을 인위적 감성에 호소하기 보다 역사적 사실로 기록한다. 예수님은 죄가 없으시지만 완전한 죄인으로 취급받으셨다. 또한 죄인이 받아야 하는 최상의 고통과 수치스러운 방법으로 죽으셨다. 죄인을 위해 온전한 고통을 겪으시며(히 4:15) 대속하신 어린 양이시다. 예수님의 대속을 온전한 믿음으로 누리기를 기도하자.
※ 삶의적용
예수님의 십자가는 온전한 고통과 수치의 죽음이었다. 그것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지 묵상해보자.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님의 장례(마태복음 27:57~66) (0) | 2017.07.29 |
---|---|
예수님의 죽음(마태복음 27:45~56) (0) | 2017.07.28 |
사형선고를 받으신 예수님(마태복음 27:11~26) (0) | 2017.07.26 |
뉘우침 vs 회개(마태복음 27:1~10) (0) | 2017.07.25 |
예수님을 부인하는 베드로(마태복음 26:69~75)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