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과의 결혼(느헤미야 13:23~31)
새찬송 604장 완전한 사랑
23 그 때에 내가 또 본즉 유다 사람이 아스돗과 암몬과 모압 여인을 맞아 아내로 삼았는데
24 그들의 자녀가 아스돗 방언을 절반쯤은 하여도 유다 방언은 못하니 그 하는 말이 각 족속의 방언이므로
25 내가 그들을 책망하고 저주하며 그들 중 몇 사람을 때리고 그들의 머리털을 뽑고 이르되 너희는 너희 딸들을 그들의 아들들에게 주지 말고 너희 아들들이나 너희를 위하여 그들의 딸을 데려오지 아니하겠다고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하라 하고
26 또 이르기를 옛적에 이스라엘 왕 솔로몬이 이 일로 범죄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는 많은 나라 중에 비길 왕이 없이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라 하나님이 그를 왕으로 삼아 온 이스라엘을 다스리게 하셨으나 이방 여인이 그를 범죄하게 하였나니
27 너희가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아 이 모든 큰 악을 행하여 우리 하나님께 범죄하는 것을 우리가 어찌 용납하겠느냐
28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손자 요야다의 아들 하나가 호론 사람 산발랏의 사위가 되었으므로 내가 쫓아내어 나를 떠나게 하였느니라
29 내 하나님이여 그들이 제사장의 직분을 더럽히고 제사장의 직분과 레위 사람에 대한 언약을 어겼사오니 그들을 기억하옵소서
30 내가 이와 같이 그들에게 이방 사람을 떠나게 하여 그들을 깨끗하게 하고 또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반열을 세워 각각 자기의 일을 맡게 하고
31 또 정한 기한에 나무와 처음 익은 것을 드리게 하였사오니 내 하나님이여 나를 기억하사 복을 주옵소서
※ 도움말
*유다 방언은 못하니(24) : 유다사람과 이방인이 결혼하여 낳은 자녀는 유다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언어를 말하지 못했다. 이것은 경전 중심의 종교였던 유대인들에게는 조상들의 전통과 유산을 모두 잃어버릴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음을 의미한다.
※ 도움질문
1.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방인과 통혼한 실상이 어떠한가(23-24, 28)?
2. 느헤미야는 이방인과의 결혼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25, 28-30)?
※ 말씀묵상
1. 이방인과의 통혼 (23-24)
이방인과의 통혼의 문제가 백성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 일반 백성들뿐만 아니라 심지어 대제사장 가문에서도 이방인과의 결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방인과의 결혼을 통해서 태어난 유대의 어린 아이들 중에는 아스돗이나 다른 외국어로는 대화를 할 수 있지만 정작 유다 방언은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자녀들이 히브리어를 할 줄 모른다는 것은 예배 중심적 공동체이며 경전 중심의 공동체인 이스라엘의 존립을 위협하는 굉장히 심각한 문제로써 백성들 간의 일체성과 연대성을 깨뜨린다.
2. 느헤미야의 과감한 개혁 (25, 28-30)
이방인과의 통혼이 유대 사회의 결속에 심각한 폐해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한 느헤미야는 이 문제에 대한 개혁을 실시한다. 이방인과 통혼한 사람들을 책망하고 그들을 때리고 머리털을 뽑기까지 한다.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방 여인들과 통혼함으로 하나님께 죄를 범했던 솔로몬의 경우를 소개하면서 그들의 행위가 심각한 잘못임을 깨닫도록 한다. 느헤미야는 대제사장 가문에서 이방인과 통혼하는 천인공노할 만한 현실에 매우 분개하여 당사자의 직분을 파면하고 그를 멀리 떠나보낸다.
※ 삶의적용
배우자의 덕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월절 만찬(누가복음 22:14∼20) (0) | 2017.04.12 |
---|---|
한 여인의 진정한 헌신(마가복음 14:1∼11) (0) | 2017.04.11 |
안식일 준수(느헤미야 13:15~22) (0) | 2017.04.07 |
말씀으로 시작하는 개혁(느헤미야 13:1~14) (0) | 2017.04.06 |
연합과 송축 (0) | 2015.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