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emon 1:8 - 1:16 ] - hymn 449 He is very dear to me but even dearer to you, both as a fellow man and as a brother in the Lord. Philemon 1:16 I saw Mary every Tuesday when I visited “the House”—a home that helps former prisoners reintegrate into society. My life looked different from hers: fresh out of jail, fighting addictions, separated from her son. You might say she lived on the edge of society. Like Mary, onesimus knew what it meant to live on the edge of society. As a slave, onesimus had apparently wronged his Christian master, Philemon, and was now in prison. While there, he met Paul and came to faith in Christ(v. 10). Though now a changed man, onesimus was still a slave. Paul sent him back to Philemon with a letter urging him to receive onesimus “no longer as a slave, but better than a slave, as a dear brother”(Philem. 1:16). Philemon had a choice to make: He could treat onesimus as his slave or welcome him as a brother in Christ. I had a choice to make too. Would I see Mary as an ex-convict and a recovering addict—or as a woman whose life is being changed by the power of Christ? Mary was my sister in the Lord, and we were privileged to walk together in our journey of faith. It’s easy to allow the walls of socio-economic status, class, or cultural differences to separate us. The gospel of Christ removes those barriers, changing our lives and our relationships forever. —karenwolfe | | [ 빌레몬서 1:8 - 1:16 ] - 찬송가 449 장 내게 특별히 그러하거든 하물며 육신과 주 안에서 상관된 네게랴 빌레몬서 1:16 매주 화요일 내가 감옥에서 출소한 전과자들이 사회에 다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는 “하우스”라는 단체를 방문할 때마다 메리를 보았습니다. 나와 그녀의 삶은 달라 보였습니다. 그녀는 감옥에서 바로 나와 중독증과 싸우고 있었으며 아들과도 떨어져 있는 상태였고, 사회의 소외계층이라고 불릴 수 있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오네시모도 메리처럼 사회에서 소외계층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오네시모는 노예로서 자신의 주인이자 그리스도인인 빌레몬에게 분명한 잘못을 저질러 감옥에 갇혀 있다가, 거기서 바울을 만나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습니다(10절). 오네시모는 이제 변화된 사람이었지만 여전히 노예였습니다. 바울은 그를 빌레몬에게 돌려보내며 “이후로는 종과 같이 대하지 아니하고 종 이상으로, 곧 사랑 받는 형제”(몬 1:16)로 받아들이라고 설득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빌레몬은 한 가지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오네시모를 노예로 취급하든지, 아니면 그리스도 안에서 한 형제로 맞아들이든지 하는 것이었습니다. 나 역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메리를 중독에서 회복되고 있는 전과자로 볼 것인가, 아니면 그리스도의 능력으로 그 삶이 변화되고 있는 한 여인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메리는 주님 안에서 나의 자매였으며, 우리에게는 신앙의 여정에서 함께 걸어갈 특권이 부여되었습니다. 사회적 경제적 지위나 계층이나 문화적 차이로 인한 벽이 우리를 갈라놓기 쉽습니다. 그리스도의 복음은 그러한 장벽을 제거하여 우리의 삶과 관계들을 영원히 변화시켜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