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양식/큐티

애매한 고난

구원의 계획 2010. 7. 20. 11:09

애매한 고난(사무엘상 27:1~12)

 

1 다윗이 그 마음에 생각하기를 내가 후일에는 사울의 손에 망하리니 블레셋 사람의 땅으로 피하여 들어가는 것이 상책이로다 사울이 이스라엘 온 경내에서 나를 수색하다가 절망하리니 내가 그 손에서 벗어나리라 하고

2 일어나 함께 있는 육백 인으로 더불어 가드 왕 마옥의 아들 아기스에게로 건너가니라

3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각기 가족을 거느리고 가드에서 아기스와 동거하였는데 다윗이 그 두 아내 이스르엘 여자 아히노암과 나발의 아내 되었던 갈멜 여자 아비가일과 함께 하였더니

4 다윗이 가드에 도망한 것을 혹이 사울에게 고하매 사울이 다시는 그를 수색하지 아니하니라

5 다윗이 아기스에게 이르되 내가 당신께 은혜를 받았거든 지방 성읍 중 한 곳을 주어 나로 거하게 하소서 당신의 종이 어찌 당신과 함께 왕도에 거하리이까

6 아기스가 그 날에 시글락을 그에게 주었으므로 시글락이 오늘까지 유다 왕에게 속하니라

7 다윗이 블레셋 사람의 지방에 거한 날 수는 일 년 넉 달이었더라

8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올라가서 그술 사람과 기르스 사람과 아말렉 사람을 침노하였으니 그들은 옛적부터 술과 애굽 땅으로 지나가는 지방의 거민이라

9 다윗이 그 땅을 쳐서 남녀를 살려 두지 아니하고 양과 소와 나귀와 약대와 의복을 취하고 돌아와서 아기스에게 이르매

10 아기스가 가로되 너희가 오늘은 누구를 침노하였느냐 다윗이 가로되 유다 남방과 여라무엘 사람의 남방과 겐 사람의 남방이니이다

11 다윗이 그 남녀를 살려 가드로 데려가지 아니한 것은 그의 생각에 그들이 우리에게 대하여 이르기를 다윗의 행사가 이러하여 블레셋 사람의 지방에 거하는 동안에 이같이 행하는 습관이 있다 할까 두려워함이었더라

12 아기스가 다윗을 믿고 말하기를 다윗이 자기 백성 이스라엘에게 심히 미움을 받게 하였으니 그는 영영히 내 사역자가 되리라 하니라

 

※ 도움말

* 블레셋사람(1절) : 이스라엘 남서부에 정착한 민족으로 5대 도시(아스돗, 가드, 에그론, 가사, 아벡)가 연합한 나라인데, 계속 이스라엘과 적대적 관계에 있었음.

* 은혜를 받았거든(5절) : 상대방에게 호의를 구하는 히브리인들의 관용적 어법.

 

※ 도움질문

1. 다윗이 무슨 생각으로 블레셋으로 망명하였습니까(1~4절)?

2. 블레셋에서 그는 무슨 일을 행합니까(5~12절)?

 

※ 말씀묵상

그리스도인의 고난은 믿음으로 바라보면 중요한 교훈을 얻습니다. 다윗이 겪는 애매한 고난이 주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자신의 한계를 더 깊이 깨닫게 합니다

다윗은 사울을 피하는데 많은 세월을 보냈습니다. 다윗은 하나님 앞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다윗은 사울을 죽일 수 있는 결정적인 두 번의 기회가 주어졌지만 여호와의 기름 부은 자에게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그도 인간인지라 사울을 피하는데 지쳐있었습니다. 다윗이 오죽했으면 이스라엘과 원수관계에 있는 블레셋 지방으로 도망을 갔겠습니까? 그는 애매한 고난 중에서 자신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꼈을 것입니다. 우리도 한계상황에 직면할 때가 있습니다. 질병, 진학실패, 취업실패, 사업 실패,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이 있을 때 한계를 느낍니다. 자신의 한계를 느낀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자기 발견입니다. 사람은 진정으로 한계를 느낄 때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애매한 고난을 받을 때 당시에는 이해도 잘 안되고 참기도 힘들지만, 시간이 지난 후 돌이켜 보면 우리의 연단을 위해 꼭 필요했던 과정이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공동체의 결속을 돈독하게 합니다

다윗의 공동체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형성된 공동체였습니다. 그의 공동체는 환난 당한 자와 빚진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들이 몰려와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문제 많은 공동체를 섬기고 인도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다윗은 이런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여러 가지 고난을 당하면서도 끝까지 섬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윗은 600명을 거느리고 블레셋 땅에 와서 이들을 섬기고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고난 속에서 더욱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결집력을 볼 때 지도자의 역할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사람들의 공동체는 부유해지면 더 분열하고 대립하는 것을 봅니다. 서로 자기의 이익을 구하려고 하기 때문에 좀처럼 단결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난 속에서는 구심점이 있을 때 힘있는 공동체로 만들어져 가는 것입니다. 애매한 고난 속에서도 인내와 소망을 가지고 서로 격려하고 힘을 모을 때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를 맛볼 수 있습니다.

 

※ 삶의 적용

당신은 애매한 고난을 받을 때 어떤 마음과 태도를 갖습니까? 특히 공동체에 어려움이 있을 때 피하려고 합니까? 동참하여 함께 해결하려고 합니까?

 

※ 행하기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껴주시고 보호해주시는 하나님  (0) 2010.07.22
기복적인 신앙의 허구  (0) 2010.07.21
무한 선행  (0) 2010.07.19
하나님의 심판을 믿는 신앙  (0) 2010.07.18
다윗을 아끼시는 하나님  (0) 2010.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