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요한복음 11:17~27)
17 예수께서 와서 보시니 나사로가 무덤에 있은 지 이미 나흘이라
18 베다니는 예루살렘에서 가깝기가 한 오 리쯤 되매
19 많은 유대인이 마르다와 마리아에게 그 오라비의 일로 위문하러 왔더니
20 마르다는 예수께서 오신다는 말을 듣고 곧 나가 맞이하되 마리아는 집에 앉았더라
21 마르다가 예수께 여짜오되 주께서 여기 계셨더라면 내 오라버니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22 그러나 나는 이제라도 주께서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구하시는 것을 하나님이 주실 줄을 아나이다
23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오라비가 다시 살아나리라
24 마르다가 이르되 마지막 날 부활 때에는 다시 살아날 줄을 내가 아나이다
25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26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이것을 네가 믿느냐
27 이르되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내가 믿나이다
※ 도움말
※ 도움질문
1. 죽은 나사로의 형편과 집안 분위기가 어떠합니까(17~19절)?
2. 마르다와 예수님의 대화가 어떠하며, 예수님은 자신을 어떤 분으로 소개하고 있습니까(20~27절)?
※ 말씀묵상
인간의 절망이 무엇입니까? 인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그 절망의 문제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소망을 가지게 됩니까?
죽음의 절망 앞에 피차 위로하는 사람들
무덤 안에는 죽은 지 나흘이나 되는 나사로가 묻혀 있습니다. 나흘이란 시간은 살아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나사로와 친분을 갖고 있던 예루살렘과 베다니의 많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마르다와 마리아의 집에 찾아와 그들을 위로하며 슬픔을 함께 나누는 일 뿐입니다. 이 세상의 어떤 사람도 죽음이라는 절망의 문제를 피할 수 없습니다. 어떤 문명이나 의술도 죽음을 극복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기에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죽음의 현실을 그저 받아들일 뿐입니다. 죽음을 맞이하고 슬퍼하는 사람들에게 그저 위로할 뿐입니다. 이것이 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입니다. 또한 위로하던 그 사람들도 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사람들의 위로를 받으며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죽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모든 인간이 죄인임을 증명해 줍니다. ‘죄의 삯은 사망’입니다(롬 6:23). 죽음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라, 죄에 대한 대가입니다. 그러기에 그 대가 앞에서 두려움을 느낍니다. 그 누구도 죄의 삯으로부터 자유롭거나 저항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인간은 죽음의 절망 앞에 피차 위로할 뿐입니다.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
죽음으로 인해 슬퍼하고, 피차 위로하는 것이 최선인 장례식에 예수님이 찾아 오셨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의 찾아오심은 다른 사람들처럼 위로하기 위함이 아니었습니다. 죽음의 문제, 절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부활이요, 생명이다’라고 선언하십니다. 즉 예수님은 죽음에서 살리시는 분이시고, 살린 그 사람에게 영원한 생명을 부여하시는 생명의 주인이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오늘 우리에게도 예수님께 대한 믿음을 확인하는 질문을 던지십니다. “이것을 네가 믿느냐?” 부활과 생명이 누구에게 주어집니까? 바로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이요 생명이심을 믿는 사람에게 주어집니다. 죽음의 문제 앞에 위로하는 일이 최선인 인간에게 있어 부활이나 생명의 역사는 이해할 수 없는 사건입니다. 하지만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을 신뢰하고, 그 분께 믿음으로 나아가는 사람에게는 마지막 날에 일어날 부활 뿐 아니라, 오늘의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부활과 생명의 능력을 맛보며 살아가게 하십니다. 나흘이 지나 전혀 소망이 보이지 않더라도,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을 믿고 의지하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반드시 회복시켜 주실 것입니다.
※ 삶의 적용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이 당신에게 어떤 소망과 용기를 줍니까?
※ 행하기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리심과 죽으심 (0) | 2010.05.12 |
---|---|
네가 믿으면 하나님의 영광을 보리라 (0) | 2010.05.11 |
부모님을 공경하고 순종하자 (0) | 2010.05.09 |
고난에는 뜻이 있다 (0) | 2010.05.08 |
죽이려는 사람과 믿으려는 사람 (0) | 201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