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움보다 양보를 택한 다윗(사무엘하 15:13~23)
13 사자가 다윗에게 와서 고하되 이스라엘의 인심이 다 압살롬에게로 돌아갔나이다 한지라
14 다윗이 예루살렘에 함께 있는 모든 신복에게 이르되 일어나 도망하자 그렇지 아니하면 우리 한 사람도 압살롬에게서 피하지 못하리라 빨리 가자 두렵건대 저가 우리를 급히 따라와서 해하고 칼로 성을 칠까 하노라
15 왕의 신복들이 왕께 고하되 우리 주 왕의 하고자 하시는대로 우리가 행하리이다 하더라
16 왕이 나갈 때에 권속을 다 따르게 하고 후궁 열명을 남겨 두어 궁을 지키게 하니라
17 왕이 나가매 모든 백성이 다 따라서 벧메르학에 이르러 머무니
18 모든 신복이 그 곁으로 지나가고 모든 그렛 사람과 모든 블렛 사람과 및 왕을 따라 가드에서 온 육백인이 왕의 앞으로 진행하니라
19 그 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20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없이 가니 오늘날 어찌 너로 우리와 함께 유리하게 하리요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원하노라
21 잇대가 왕께 대답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사심과 우리 주 왕의 사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무론 사생하고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
22 다윗이 잇대에게 이르되 앞서 건너가라 하매 가드 사람 잇대와 그 종자들과 그와 함께한 아이들이 다 건너가고
23 온 땅 사람이 대성통곡하며 모든 인민이 앞서 건너가매 왕도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니 건너간 모든 백성이 광야 길로 향하니라
※ 도움말
※ 도움질문
1. 압살롬의 반역이 더욱 거세지자 다윗은 어떻게 대처합니까(13~18절)?
2. 반역으로 예루살렘을 떠나는 다윗의 인간미와 잇대의 충성심이 어떠합니까(19~23절)?
※ 말씀묵상
좋은 신앙과 인격은 위기 때에도 빛나게 됩니다. 다윗은 자식의 반역이라는 비극적인 현실 앞에서도 성숙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본문에 나타난 다윗의 신앙과 인격은 어떤 특징이 있습니까?
싸움보다 양보를 선택하는 인격입니다
다윗은 압살롬의 반역을 접하고 피난길을 선택하였습니다. 백전노장으로서 충분히 물리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 예루살렘에 함께 있는 신복들을 설득하여 도망가자고 제의합니다. 도망가지 않으면 압살롬에게 살아남을 자가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하여 남겨둔 후궁 열 명을 제외한 모든 신복과 권속들을 데리고 왕궁을 고스란히 비워줍니다. 다윗이 예루살렘 왕궁을 포기하고 피난길을 택한 것은 압살롬의 반역을 막을 준비가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들과의 싸움보다는 양보를 선택한 것입니다. 그리고 압살롬의 반역을 막으려고하면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서 많은 피를 흘려야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누군가 이겨도 이긴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양보하는 인격을 가져야 합니다. 양보할 때 손해 본 것 같지만 결코 손해 본 것이 아니라 더 좋은 것을 얻게 됩니다. 눈 앞의 이권 때문에 싸우고, 의견불일치로 반발하는 상황 가운데서도 양보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양보하는 자가 진정으로 강한 자요, 승리자입니다.
함께 한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는 인격입니다
다윗의 피난길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따랐습니다. 이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체면 때문에 따르는 자들이 아니었습니다. 다윗에게 깊은 감동을 받은 이들이 피난길도 마다하지 않고 따랐습니다. 이들 가운데는 왕궁에서 여러 가지 명예와 특권을 누리던 신복들도 있었고, 망명시절부터 줄기차게 함께 있었던 600인도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이방인 가드 사람 잇대조차도 살든지 죽든지 다윗과 함께하기를 결단하며 따랐습니다. 다윗에게도 부족함이 있었지만 함께 한 자들은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사람입니다. 사람을 잃으면 많은 것을 잃는 것이요, 하나님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명예와 유익을 위하여 다른 사람을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언젠가는 다 떠나 버리고 맙니다. 사람을 얻는 자가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사람을 얻는 길은 사람을 아껴주고 품어 주어야 합니다. 우리는 쉽게 사람을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에게 유익이 될 것 같지 않으면 쉽게 멀리하고 맙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삶을 살아야 겠습니다.
※ 삶의 적용
당신은 양보를 잘하는 편입니까? 아니면 싸워서라도 손해보지 않으려고 합니까? 어떻게 하면 양보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삶을 살 수 있을까요?
※ 행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