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압살롬(사무엘하 14: 21~33)
21 왕이 요압에게 이르되 내가 이 일을 허락하였으니 가서 소년 압살롬을 데려 오라
22 요압이 땅에 엎드려 절하고 왕을 위하여 복을 빌고 가로되 내 주 왕이여 종의 구함을 허락하시니 종이 왕 앞에서 은혜 받은줄을 오늘날 아나이다 하고
23 일어나 그술로 가서 압살롬을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오니
24 왕이 가로되 저를 그 집으로 물러가게 하고 내 얼굴을 보지 말게 하라 하매 압살롬이 자기 집으로 가고 왕의 얼굴을 보지 못하니라
25 온 이스라엘 가운데 압살롬 같이 아름다움으로 크게 칭찬 받는 자가 없었으니 저는 발바닥부터 정수리까지 흠이 없음이라
26 그 머리털이 무거우므로 년말마다 깎았으며 그 머리털을 깎을 때에 달아 본즉 왕의 저울로 이백 세겔이었더라
27 압살롬이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는데 딸의 이름은 다말이라 얼굴이 아름다운 여자더라
28 압살롬이 이태 동안을 예루살렘에 있으되 왕의 얼굴을 보지 못하였으므로
29 요압을 왕께 보내려 하여 사람을 보내어 부르되 오지 아니하고 또 다시 보내되 오지 아니하는지라
30 압살롬이 그 종에게 이르되 보라 요압의 밭이 내 밭 근처에 있고 거기 보리가 있으니 가서 불을 놓으라 압살롬의 종들이
그 밭에 불을 놓았더니
31 요압이 일어나 압살롬의 집으로 와서 압살롬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네 종들이 내 밭에 불을 놓았느냐
32 압살롬이 요압에게 대답하되 내가 일찍 사람을 네게 보내어 너를 이리로 청한 것은 내가 너를 왕께 보내어 고하게 하기를 어찌하여 내가 그술에서 돌아오게 되었나이까 이때까지 거기 있는 것이 내게 나았으리이다 하려 함이로라 이제는 네가 나로 왕의 얼굴을 보게 하라 내가 만일 죄가 있으면 왕이 나를 죽이시는 것이 가하니라
33 요압이 왕께 나아가서 그 말을 고하매 왕이 압살롬을 부르니 저가 왕께 나아가 그 앞에서 얼굴을 땅에 대어 절하매 왕이 압살롬과 입을 맞추니라
※ 도움말
왕의 저울로 이백 세겔(26절) : 왕의 저울은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저울의 2배 무게에 해당한다. 1세겔은 약 11.4g 이며, 보통 사람의 1년간 자라는 머리털의 무게는 약 500g이라고 함.
※ 도움질문
1. 압살롬은 어떻게 예루살렘으로 귀환하게 되었으며(21~24절), 압살롬의 외모와 그의 가족이 어떻게 나타나 있습니까(25~27절)?
2. 압살롬과 다윗이 만나는 과정이 어떠합니까(28~33절)?
※ 말씀묵상
하나님의 사람들은 죄인을 용서하며 살아야 합니다. 다윗도 결국 압살롬을 만나는 결정적인 화해를 하게 됩니다. 다윗이 압살롬을 용서하며 맞이하는 모습은 어떤 사랑의 특징을 보여줍니까?
자기 자랑과 교만한 자를 불러주는 사랑입니다
다윗은 압살롬을 예루살렘으로 오도록 하였으나 2년 동안 만나지 않다가 왕궁으로 불렀습니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들 압살롬을 왜 진작에 만나지 않았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압살롬에게 회개의 기회를 주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런데도 압살롬은 회개할 줄을 몰랐습니다. 그의 외모는 매우 출중했습니다. 그의 머리털은 얼마나 아름답고 풍성했던지 모든 사람들이 흠모할 정도였습니다(26절). 훌륭한 그의 외적 조건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마음을 도적질하기에 충분했습니다(삼하15:6). 이런 자를 다윗은 기다리며 불러주었습니다. 사람들은 얼마나 자기 자랑을 좋아하는지 모릅니다. 별로 자랑거리가 아닌데도 조금만 칭찬하여 주면 자랑하고 교만해집니다. 교만한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요, 상대하기도 싫을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교만한 사람을 돕는 길은 교만하다고 지적하기보다도 불러주고 품어주는 것입니다. 우리는 교만한 사람이 부담스럽다고 포기하거나 멀리해서는 안됩니다. 자기 자랑과 교만 가운데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지혜롭게 가까이 하면서 은밀히 도와주게 될 때 교만의 아성은 무너지게 될 것입니다.
배반한 자를 다시 품어주는 사랑입니다
압살롬은 형을 죽이므로 아버지를 배반한 자식입니다. 그렇게 하고도 전혀 자신의 죄를 뉘우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버지 다윗을 만나고자 하는 태도를 보면 얄밉기 그지 없습니다. 군대장관 요압의 밭에 불을 놓아서 요압이 오게 하고 요압을 통해서 왕을 맞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아무리 왕자라고 하지만 얼마나 오만하고 무례한 자인지 모릅니다. 다윗은 이런 압살롬을 모를 리 없었지만, 화해의 입맞춤을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도저히 화해하고 용서하기 어려운 자식이지만 먼저 화해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하나님도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여 주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할만해서 사랑하신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용서할만해서 용서한 것도 결코 아닙니다. 배반한 자를 다시 품어주신 사랑은 놀라운 사랑의 능력입니다. 이런 사랑을 경험한 사람은 사랑하지 못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입니다. 성경에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한 것은 하나님의 이런 사랑에 바탕을 둔 것입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롬 5:8)
※ 삶의 적용
당신은 불편한 관계 때문에 화해하기가 어려운 사람이 있습니까? 어떻게 화해의 악수를 할 수 있을지 방법을 찾아보시오.
※ 행하기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움보다 양보를 택한 다윗 (0) | 2010.10.05 |
---|---|
압살롬의 반역 (0) | 2010.10.04 |
화평케 하는 지혜 (0) | 2010.10.02 |
압살롬을 그리워하는 다윗 (0) | 2010.10.01 |
바울의 동역자 (0) | 201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