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살롬의 반역(사무엘하 15:1~12)
1 이 후에 압살롬이 자기를 위하여 병거와 말들을 준비하고 전배 오십명을 세우니라
2 압살롬이 일찌기 일어나 성문 길 곁에 서서 어떤 사람이든지 송사가 있어 왕에게 재판을 청하러 올 때에 그 사람을 불러서 이르되 너는 어느 성 사람이냐 그 사람의 대답이 종은 이스라엘 아무 지파에 속하였나이다 하면
3 압살롬이 저에게 이르기를 네 일이 옳고 바르다마는 네 송사 들을 사람을 왕께서 세우지 아니하셨다 하고
4 또 이르기를 내가 이 땅에서 재판관이 되고 누구든지 송사나 재판할 일이 있어 내게로 오는 자에게 내가 공의 베풀기를 원하노라 하고
5 사람이 가까이 와서 절하려 하면 압살롬이 손을 펴서 그 사람을 붙들고 입을 맞추니
6 무릇 이스라엘 무리 중에 왕께 재판을 청하러 오는 자들에게 압살롬의 행함이 이 같아서 이스라엘 사람의 마음을 도적하니라
7 사년만에 압살롬이 왕께 고하되 내가 여호와께 서원한 것이 있사오니 청컨대 나로 헤브론에 가서 그 서원을 이루게 하소서
8 종이 아람 그술에 있을 때에 서원하기를 만일 여호와께서 나를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게 하시면 내가 여호와를 섬기리이다 하였나이다
9 왕이 저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하니 저가 일어나 헤브론으로 가니라
10 이에 압살롬이 정탐을 이스라엘 모든 지파 가운데 두루 보내어 이르기를 너희는 나팔소리를 듣거든 곧 부르기를 압살롬이 헤브론에서 왕이 되었다 하라 하니라
11 그 때에 압살롬에게 청함을 받은 이백명이 그 사기를 알지 못하고 아무 뜻 없이 예루살렘에서 저와 함께 갔으며
12 제사 드릴 때에 압살롬이 사람을 보내어 다윗의 모사 길로 사람 아히도벨을 그 성읍 길로에서 청하여 온지라 반역하는 일이 커가매 압살롬에게로 돌아오는 백성이 많아지니라
※ 도움말
* 성문 길 곁에(2절) : 성문과 그 옆은 사람들의 통행로로서 재판과 상거래가 이뤄지는 생활의 중심이었음.
※ 도움질문
1. 압살롬이 어떻게 백성의 마음을 도적질하며 반역을 준비합니까(1~6절)?
2. 압살롬이 어떻게 다윗을 속이고 백성을 이용하여 반역을 합니까(7~12절)?
※ 말씀묵상
사람이 많은 조건을 갖추었어도 헛된 욕심과 야망에 빠지면 스스로 멸망의 길로 간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압살롬은 은밀히 반역을 준비합니다. 이런류의 사람들은 어떤 특징이 있습니까?
자기중심적인 마음으로 은혜를 배신합니다
압살롬은 다윗의 용서와 은혜를 배신합니다. 그는 자기를 위하여 병기와 말들을 준비하면서 경호원도 50명이나 거느리며, 왕께 재판하러 오는 자를 가로채서 자신이 왕처럼 재판을 하고 돌려보냅니다. 이러한 그의 행동은 정말로 백성을 사랑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성취하기 위하여 계산된 가식적인 친절이었습니다. 이것은 백성의 마음을 도적질하는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압살롬은 철저히 왕의 용서와 은혜를 배신합니다. 우리는 압살롬을 보면서 인간이 얼마나 자기중심적이며 은혜를 은혜로 여길 줄 모르는 존재인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오직 자기만을 위하여 살아가려는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자신의 이익 앞에서는 왕도, 부모 형제도, 친구도 가차 없이 버리는 것입니다.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은혜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며, 오직 자신의 욕망을 성취하는 수단으로 여기고 맙니다. 우리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고자 힘써야 합니다.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자기가 최정상에 있다하더라도 그 위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잊지 않는 것입니다.
자기의 세계를 구축하고 반역합니다
압살롬은 약 4년 만에 자기의 세계를 완전히 구축하였습니다. 그는 왕을 배반하고 자기가 왕이 되기 위하여 모든 준비를 해놓았습니다. 그리고 부왕 다윗에게 거짓말을 둘러대고 헤브론으로 가서 왕이 되었다고 선포하였습니다. 얼마나 압살롬이 인륜과 도의를 모르는 패륜아인가를 보게 됩니다. 압살롬이 다윗을 반역하는 모습은 자기중심적인 인간이 하나님을 거역하는 반역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려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높이고 자기 마음대로 살고자 합니다. 인간이 하나님을 거역하는 모습은 제도적이고 조직적으로도 나타나고, 자신의 삶의 형태 속에서도 나타납니다. 우리는 결코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려고 하지말고 하나님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를 만들어 가기 위해 힘써야 합니다. 특히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와 공동체 안에서 교제를 거부하고 자신만의 신앙유형을 고집하는 것은 이러한 위험성을 갖고 있습니다. 함께 하는 기쁨과 유익을 경험할 수 있길 바랍니다.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시133:1)
※ 삶의 적용
당신은 아버지를 반역하는 압살롬을 보면서 어떤 느낌을 받았습니까? 이러한 사실이 우리가 가지는 인간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보시오.
※ 행하기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은혜를 구한 다윗 (0) | 2010.10.06 |
---|---|
싸움보다 양보를 택한 다윗 (0) | 2010.10.05 |
돌아온 압살롬 (0) | 2010.10.04 |
화평케 하는 지혜 (0) | 2010.10.02 |
압살롬을 그리워하는 다윗 (0) | 201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