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왕후를 뽑기로 작정한 아하수에로(에스더 1:13~22)
새찬송 425장 주님의 뜻을 이루소서
13 왕이 사례를 아는 현자들에게 묻되 (왕이 규례와 법률을 아는 자에게 묻는 전례가 있는데
14 그 때에 왕에게 가까이 하여 왕의 기색을 살피며 나라 첫 자리에 앉은 자는 바사와 메대의 일곱 지방관 곧 가르스나와 세달과 아드마다와 다시스와 메레스와 마르스나와 므무간이라)
15 왕후 와스디가 내시가 전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아니하니 규례대로 하면 어떻게 처치할까
16 므무간이 왕과 지방관 앞에서 대답하여 이르되 왕후 와스디가 왕에게만 잘못했을 뿐 아니라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의 관리들과 뭇 백성에게도 잘못하였나이다
17 아하수에로 왕이 명령하여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도 오지 아니하였다 하는 왕후의 행위의 소문이 모든 여인들에게 전파되면 그들도 그들의 남편을 멸시할 것인즉
18 오늘이라도 바사와 메대의 귀부인들이 왕후의 행위를 듣고 왕의 모든 지방관들에게 그렇게 말하리니 멸시와 분노가 많이 일어나리이다
19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실진대 와스디가 다시는 왕 앞에 오지 못하게 하는 조서를 내리되 바사와 메대의 법률에 기록하여 변개함이 없게 하고 그 왕후의 자리를 그보다 나은 사람에게 주소서
20 왕의 조서가 이 광대한 전국에 반포되면 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여인들이 그들의 남편을 존경하리이다 하니라
21 왕과 지방관들이 그 말을 옳게 여긴지라 왕이 므무간의 말대로 행하여
22 각 지방 각 백성의 문자와 언어로 모든 지방에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남편이 자기의 집을 주관하게 하고 자기 민족의 언어로 말하게 하라 하였더라
※ 도움말
*왕의 기색을 살피며(14) : 문자적으로 ‘왕의 얼굴을 보는 자들’을 뜻하는데, 그만큼 왕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최측근의 신하들임을 나타낸다.
※ 도움질문
1. 왕후의 문제를 왕이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가(13-15)?
2. 왕과 지방관들로부터 공감을 얻은 므무간의 해결책이 무엇인가(16-22)?
※ 말씀묵상
1. 지혜를 모으는 아하수에로 왕 (13-15)
왕의 주관으로 국무회의가 열렸다. 회의에 참석한 자들은 왕의 최측근으로 제국의 행정과 법률 전문가들인 일곱 지방관들이었다. 아하수에르 왕은 절대 권력을 가진 자였지만 문제 해결을 위해 사례를 알고 있는 이들에게 물었다. 왕후의 명령 불복종은 단순한 사안이 아니었다. 절대적 힘을 가진 왕이었지만 자신의 생각대로 주관하지 않았다. 신하들의 의견을 열린 마음으로 경청하였다. 왕은 이미 자신만의 어떤 결론을 가지고서 듣는 척 하거나 통과의례로 하지 않았다. 전적으로 열린 마음을 가지고 신하들의 의견을 듣고 그에 따라 정책을 펼쳤다. 리더는 곧 경청하는 자다. 자신보다 더 나은 의견을 제시할 때는 기꺼이 자기 생각을 버릴 줄도 알아야 한다.
2. 채택된 므무간의 정책 (16-22)
므무간은 왕과 다른 지방관들 앞에서 자기의 의견을 두려움 없이 개진했다. 므무간은 이 사건으로 인해 왕실뿐만 아니라 가정을 무질서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의 의견은 왕과 지방관들에게 받아들여져 새로운 정책이 되었고 각 지방 각 백성에게 조서로 하달되게 되었다. 이처럼 인간이 모든 세상사를 만들어가는 것 같이 보인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섭리가 세상에 점점 드러난다. 므무간의 의해 채택된 정책이 결국 하나님의 사람 에스더와 모르드개를 역사에 등장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삶의적용
하나님을 믿지 않는 세상의 중심에서도 주께서 일하고 계심을 믿는가?
'마음의 양식 >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후가 된 에스더(에스더 2:12~23) (0) | 2017.04.20 |
---|---|
왕후로 준비되는 에스더(에스더 2:1~11) (0) | 2017.04.19 |
왕국의 위엄을 과시하는 아하수에로(에스더 1:1~12) (0) | 2017.04.17 |
부활하신 예수님(고린도전서 15:1∼11) (0) | 2017.04.16 |
아주 특별한 헌신(요한복음 19:38∼42) (0) | 2017.04.15 |